본문 바로가기
● 오늘은 육아중!!

학교폭력 왕따 예방-우리 아이가 혹시 따돌림? 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법과 예방법

by 박자매(Park-JaMae) 2025. 5. 6.
반응형

요즘은 뉴스나 커뮤니티에서 '학교폭력'이나 '왕따' 관련 글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특히 초등학생, 중학생 자녀를 둔 부모라면 더 예민하게 반응하게 되지요. "우리 아이는 괜찮겠지"라고 생각하고 싶지만, 왕따는 성격이 유난히 내성적이거나 눈에 띄는 아이들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어느 날 갑자기 우리 아이도 그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부모로서 인식해야 합니다.

학교폭력 왕따 예방-우리 아이가 혹시 따돌림?
AI 생성 이미지


반응형


1. 왕따는 어떻게 시작될까?

왕따는 단순한 오해나 사소한 갈등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누군가의 작은 험담이나 집단 속 배제 분위기가 쌓이면서 특정 아이가 점점 고립되는 것이죠. 문제는 아이가 이런 상황을 부모나 교사에게 말하지 않고 참고 넘어가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다 보면 마음에 깊은 상처를 남기게 되고 우울증이나 자존감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왕따 예방, 부모가 먼저 해야 할 일

(1) 아이의 행동과 감정에 민감해지기

  • 부모가 가장 먼저 할 수 있는 것은 아이가 보내는 작은 신호를 놓치지 않는 것입니다. 평소보다 말수가 줄었거나, 학교 이야기를 꺼리는 경우, 혹은 이유 없이 자주 아프다고 한다면 따돌림의 가능성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 아이가 사용하는 단어 중에 "나랑 안 놀아줘", "친구가 없어" 같은 말이 반복된다면, 이를 가볍게 넘기지 말고 자세히 이야기를 들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아이의 말투, 표정, 행동을 평소보다 세심하게 살펴보세요. 갑자기 말수가 줄거나 학교 이야기를 회피한다면 신호일 수 있습니다.

(2) 대화 습관 들이기

"오늘 학교 어땠어?" 같은 단순한 질문보다 "친구들이랑 점심시간에 뭐했어?", "재밌는 일 있었어?"처럼 구체적인 질문이 좋습니다. 아이가 자연스럽게 속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3) 또래 관계 기술 가르치기

아이에게 자기 표현법, 친구와의 대화법,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 등을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가르쳐야 합니다. 너무 순응적이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공격적인 성격은 친구들과의 관계에 어려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감정 조절 훈련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친구가 장난을 쳤을 때 기분 나쁜 감정을 “그건 좀 속상했어”라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4) 자신감을 키워주는 환경 만들기

아이의 자존감은 따돌림에 대한 회복력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칭찬, 지지, 성취감 있는 활동을 통해 아이가 자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악기, 운동, 미술 등 자신만의 강점을 발견할 수 있는 활동을 꾸준히 경험하게 해주세요.

 

(5) 자존감 키우기

친구와의 관계에서 상처를 받아도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힘, 바로 자존감입니다. 칭찬을 아끼지 말고, 아이의 장점을 자주 이야기해 주세요.



3. 왕따가 의심될 때 대처 방법

(1) 아이의 말을 믿어주세요

왕따를 당한 아이는 이미 마음이 많이 다쳐 있는 상태입니다. "네가 뭘 잘못했니?"가 아닌 "그래서 속상했겠다"는 말이 먼저 나와야 합니다.

 

(2) 학교와 협력

  • 담임교사나 상담교사와 빠르게 소통하고, 필요한 경우 학폭 신고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아이가 더 큰 2차 피해를 입지 않도록 세심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 왕따 문제는 혼자 해결할 수 없습니다. 담임 선생님과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상황을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상담 지원이나 또래 관계 프로그램 참여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학교폭력 전담기구가 마련되어 있어 제도적인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3) 따돌림 예방 교육 함께 실천하기

집에서도 평소에 친구 관계의 중요성, 배려와 존중에 대한 가치를 아이에게 지속적으로 알려줘야 합니다. 애니메이션, 동화책 등을 활용해 이야기 나누고, 실생활에서 적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4) 전문 기관 활용

장기화된 따돌림 문제는 혼자 해결하기 어렵습니다. 청소년 상담센터나 심리상담소 등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4. 또래 관계에서 건강하게 소통하는 법 가르치기

왕따를 당하지 않기 위해선 친구와의 관계 속에서 자기주장을 할 수 있는 태도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싫은 건 싫다고 말할 수 있어야 해", "친구가 놀릴 때는 웃고 넘기지 말고 단호하게 표현하자"와 같이 구체적인 상황에서의 대응법을 미리 연습시켜 주세요.


왕따는 단순히 '남의 일'이 아닙니다. 우리 아이가 피해자가 될 수도 있고 때로는 가해자나 방관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 부모의 관심과 대화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입니다. 우리 아이가 건강한 또래 관계 속에서 행복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금부터라도 작은 관심을 실천해보는 건 어떨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