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면역력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감기, 열,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자주 나타나며 활동량이 많아 크고 작은 사고도 흔히 발생합니다. 가정에서 올바른 응급처치를 하면 아이의 상태를 빠르게 안정시키고 필요할 경우 적절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하는 시점을 판단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1. 경련 (열성경련)
✔️ 증상 : 갑작스러운 전신 경련, 의식 소실
✔️ 응급처치 :
- 아이를 바닥에 눕히고 옆으로 돌려 기도를 확보한다.
- 단단한 물건이 입안에 있으면 제거하되 억지로 입을 벌리지 않는다.
- 3~5분 이내에 경련이 멈추면 안정시키고 이후 병원 진료를 받는다.
- 5분 이상 지속되거나 호흡이 불규칙하면 119에 신고한다.
2. 발열 (고열)
✔️ 증상 : 체온이 38℃ 이상 상승
✔️ 응급처치 :
- 38.5℃ 미만이면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몸을 닦아 체온을 낮춘다.
- 38.5℃ 이상이면 해열제를 복용할 수 있으며 해열제는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계열을 권장한다.
- 옷을 가볍게 입히고 방 안을 시원하게(23~25℃) 유지한다.
-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도록 돕는다.
- 아이가 처지고 호흡이 힘들거나 40℃ 이상 고열이 지속되면 병원 방문이 필요하다.
아이 열날 때 해열제 교차 복용하는 방법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아이들이 감기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열이 날 때 부모로서 가장 걱정되는 부분은 어떻게 효과적으로 해열을 시켜줄 것인가 하는 점입니다. 보통 해열제로 많이 사용하는 약은 크게 아세트
parkjamae.tistory.com
3. 복통
✔️ 증상 : 배가 아프다고 하면서 구토, 설사, 발열 동반
✔️ 응급처치 :
- 아이가 바로 눕도록 하고 배를 따뜻하게 해 준다.
- 기름진 음식이나 소화가 어려운 음식은 피하고 미음이나 죽을 먹인다.
- 배를 세게 마사지하지 않고 손으로 살며시 문질러 준다.
- 고통이 심하거나 복부가 단단하게 굳어 있으면 즉시 병원에 간다.
4. 구토
✔️ 증상 : 음식물이나 위액을 토해냄
✔️ 응급처치 :
- 구토 후에는 아이를 옆으로 눕혀 기도로 음식물이 넘어가지 않도록 한다.
- 구토 직후에는 음식이나 음료를 바로 주지 말고 30분 정도 기다린 후 미온수를 소량씩 먹인다.
- 구토가 반복되거나 탈수 증상(입이 마르고 소변 양이 줄어듦)이 나타나면 병원에 간다.
5. 설사
✔️ 증상 : 묽거나 물 같은 변을 여러 번 봄
✔️ 응급처치 :
- 탈수 방지를 위해 끓인 물이나 이온음료를 조금씩 자주 먹인다.
- 기름진 음식, 유제품, 생과일은 피하고, 쌀죽이나 바나나 같은 부드러운 음식을 준다.
- 하루 10회 이상 설사를 하거나 피가 섞인 변을 보면 즉시 병원에 간다.
6. 기도 막힘 (이물질 삼킴)
✔️ 증상 : 숨이 막히거나 기침, 호흡 곤란 발생
✔️ 응급처치 :
- 기침이 가능하면 계속 기침하도록 유도한다.
- 기침이 불가능하고 숨을 못 쉬는 경우 1세 미만이면 등을 두드려(등 두드리기 5회) 이물질을 제거한다.
- 1세 이상이면 복부 밀어 올리기(하임리히법)를 시행한다.
- 아이의 얼굴이 파랗게 변하면 즉시 119에 신고한다.
7. 코피
✔️ 증상 : 코에서 출혈 발생
✔️ 응급처치 :
- 아이를 앞으로 숙이게 하고 코끝을 10분 정도 손으로 눌러 지혈한다.
- 머리를 뒤로 젖히지 않도록 주의한다.
- 20분 이상 지혈되지 않거나 반복적으로 코피가 나면 병원에 방문한다.
8. 피부 화상
✔️ 증상 : 뜨거운 물이나 물체에 의해 화상을 입음
✔️ 응급처치 :
- 화상을 입은 부위를 깨끗한 찬물에 10~15분 정도 담가 식힌다.
- 물집이 잡혀도 터뜨리지 않고 화상 연고를 바른 후 깨끗한 거즈로 감싼다.
- 심한 화상이거나 얼굴, 손, 발 부위라면 즉시 병원으로 간다.
9. 골절 (뼈 부러짐)
✔️ 증상 : 뼈가 부러지거나 부위가 붓고 움직이기 어려움
✔️ 응급처치 :
- 부러진 부위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후 병원에 간다.
- 부기가 심하면 얼음주머니로 냉찜질한다.
- 뼈가 피부를 뚫고 나오면 즉시 응급실로 간다.
10. 머리 부상 (넘어짐, 충돌)
✔️ 증상 : 머리를 부딪치거나 낙상
✔️ 응급처치 :
- 아이를 안정시키고, 부딪친 부위에 얼음주머니를 대어 붓기를 줄인다.
- 구토, 심한 졸음, 경련, 의식 저하가 있으면 즉시 병원으로 이동한다.
11. 벌레 물림
✔️ 증상 : 벌레에 물리거나 쏘인 후 부종 가려움 발생
✔️ 응급처치 :
- 물린 부위를 깨끗이 씻고 얼음찜질을 해 붓기를 줄인다.
- 벌침이 있으면 핀셋으로 제거한 후 소독한다.
- 호흡 곤란, 얼굴 부종 등이 발생하면 응급실로 간다.
12. 식중독
✔️ 증상 : 구토, 설사, 복통, 발열
✔️ 응급처치 :
- 수분을 충분히 공급하고 탈수가 심하면 병원에 간다.
- 의심되는 음식 섭취를 중단하고 소화가 쉬운 음식을 먹인다.
- 24시간 이상 증상이 지속되면 병원 진료를 받는다.
13. 약물 중독
✔️ 증상 : 아이가 약이나 화학 물질을 삼켰을 때
✔️ 응급처치 :
- 입 안의 잔여물을 제거하고 삼킨 약의 종류를 확인한다.
- 억지로 토하게 하지 않고 즉시 병원에 방문한다.
- 중독된 물질에 따라 응급조치가 다를 수 있으므로 119에 상담 후 이동한다.
14. 알레르기 반응 (아나필락시스)
✔️ 증상 : 얼굴 부기, 호흡 곤란, 두드러기
✔️ 응급처치 :
- 알레르기 원인을 제거하고 아이를 안정시킨다.
- 호흡이 어렵거나 의식이 저하되면 즉시 119에 신고한다.
- 병원 방문 후 필요하면 에피네프린(에피펜) 처방을 받는다.
아이들이 자주 겪는 증상과 응급 상황에 대해 기본적인 응급처치법을 익혀두면 갑작스러운 상황에서도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응급처치를 시행한 후에도 아이의 상태가 호전되지 않거나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 오늘은 육아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에게 화가 날 때, 감정을 다스리고 현명하게 대처하는 방법 (23) | 2025.04.05 |
---|---|
자녀에게 올바른 돈 개념을 가르치는 효과적인 방법 (13) | 2025.04.04 |
자면서 계속 뒤집고 깨서 우는 아기, 엎드려서 잠을 잘 못 자는 이유 (11) | 2025.04.03 |
우리 아이 사진 챗GPT로 지브리, 픽사, 디즈니, 심슨, 짱구스타일로 변환하기 (16) | 2025.04.03 |
어린이집, 유치원 친구 부담 없는 생일 선물 준비하기 (16)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