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키우다 보면 이런 장면을 자주 마주하게 됩니다.
같은 말을 반복하거나, 같은 행동을 여러 번 되풀이하는 아이의 모습 말이죠.
예를 들어,
- "엄마, 이거 뭐야?"라고 같은 질문을 계속해서 묻는 아이
- 방 안을 뱅뱅 돌거나 손을 털듯이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아이
- 이미 들은 이야기를 또 반복하거나, 똑같은 장난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아이
이런 모습을 볼 때 부모는 자연스럽게 걱정이 앞섭니다.
"혹시 문제가 있는 건 아닐까?", "왜 자꾸 같은 말을 하는 걸까?" 하는 생각이 들죠.
이처럼 아이가 같은 말이나 행동을 반복하는 현상을 우리는 '반복 행동'이라고 부릅니다.
반복 행동이란, 같은 말이나 움직임을 의도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정상적인 발달 과정의 일부일 수도 있지만, 때로는 특정한 발달 지연이나 심리적 요인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이처럼 반복 행동을 보이는 아이들의 원인과 심리, 그리고 부모가 어떻게 대응하면 좋을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아이가 같은 말을 반복하는 이유
(1) 언어 발달 과정에서의 자연스러운 현상
만 2세~4세 사이의 아이들은 언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반복을 통해 문장 구조와 어휘를 익히는 경향이 있습니다.
- 예 : "강아지 갔어? 진짜 갔어? 어디 갔어?"
이처럼 반복적인 질문을 통해 상황을 이해하고, 어휘를 확장합니다.
❗이 경우, 반복은 발달적으로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2) 불안감 해소를 위한 자기 위안
아이가 같은 말을 반복하거나 혼잣말을 하는 경우,낯선 환경, 불안, 긴장감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식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치원에 처음 간 아이가“엄마 곧 온다. 엄마 곧 온다.”라고 혼잣말을 반복한다면이는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자기 위안의 말입니다.
(3) 주목받고 싶은 심리
아이가 부모의 반응을 기대하며 같은 말이나 행동을 반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말에 엄마가 크게 웃거나 관심을 보이면그 반응을 다시 유도하기 위해 그 말을 반복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때는 아이에게 주목받고 싶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2. 아이가 같은 행동을 반복하는 이유
(1) 감각 자극을 즐기는 자폐 스펙트럼의 한 특성
반복 행동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의 대표적인 행동 양상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 손을 털거나 흔들기
- 같은 장난감을 같은 방식으로 반복해서 돌리기
- 줄 세우기, 특정 소리 반복 등
이러한 행동은 감각 자극을 즐기기 위한 '자기자극행동(Self-stimulatory behavior)'일 수 있습니다.
❗단, 이것만으로 자폐를 진단할 수는 없으며, 사회적 상호작용과 언어 발달 등도 함께 평가해야 합니다.
(2) 루틴을 통한 안정감 추구
아이들은 예측 가능한 환경에서 안정감을 느끼고 통제감을 얻습니다.그래서 같은 행동이나 루틴을 고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항상 같은 자리에서 밥을 먹으려 함
- 특정 옷만 입으려고 함
- 같은 동화책을 계속 읽어달라고 함
❗이는 통제 가능한 세계에서 심리적 안정감을 찾는 과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3) 스트레스 해소의 수단
어른들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 손톱을 물어뜯거나 머리를 만지는 것처럼아이들도 반복적인 행동을 통해 정서적 긴장을 완화하려 합니다.
이런 경우 반복 행동은 심리적 안전장치의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3. 이런 경우는 전문가의 상담이 필요해요
반복 행동이 항상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전문가의 조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말 대신 반복적인 소리(예: 윙윙, 음음…)를 계속 낸다
- 사람과의 눈 맞춤을 회피한다
- 이름을 불러도 반응이 없다
- 혼자 있는 시간이 많고 상호작용을 피한다
-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반복 행동이 심하다
❗이런 경우, 소아정신과나 발달클리닉에서 발달평가 또는 자폐스펙트럼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4. 부모가 할 수 있는 대응 방법
(1) 반복 행동의 '의도'를 파악하세요
반복 행동 자체보다 왜 반복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관심 받기 위함인지
- 불안을 해소하려는 것인지
- 감각 자극에 반응하는 것인지
❗이유를 파악하면 보다 적절한 반응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무조건 제지하지 마세요
"그만 좀 해!", "왜 또 그래?"와 같은 반응은아이가 위축되거나 더 강하게 반복하게 만드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반복 행동을 완전히 억제하기보다는, 다른 활동으로 자연스럽게 전환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3) 아이의 감정을 먼저 읽어주세요
반복 행동은 종종 표현하지 못한 감정의 표현일 수 있습니다. "지금 불안한 거구나", "이게 즐거운 놀이구나"처럼 감정을 읽어주고 말로 표현해 주는 것이아이의 정서 발달에 큰 도움이 됩니다.
(4) 놀이를 통해 확장해 주세요
같은 동작이나 말을 반복할 때, 그 내용을 확장해주는 대화 방식은 아이의 언어·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예 :
아이 : "토끼야 토끼야"
부모 : "토끼가 점프하고 있어? 어디로 가고 있을까?"
❗반복을 놀이와 상호작용의 기회로 바꾸는 것이 핵심입니다.
반복 행동은 때로는 정상적인 발달 과정의 일부이고, 때로는 아이의 불안, 감각 반응, 스트레스 해소 방법일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이를 부정적으로 바라보지 않고, 아이의 마음을 읽고, 충분한 관찰과 애정으로 대응하는 부모의 태도입니다.
아이의 반복 행동이 단순한 습관인지, 도움이 필요한 신호인지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관심, 관찰, 그리고 적절한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결코 늦지 않습니다.
'● 오늘은 육아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자아이 교육법, 아들 훈육, 이렇게 해야 효과 있다! 아들 교육법 핵심정리 10가지 (14) | 2025.06.14 |
---|---|
스트레스 받았을 때 아들과 딸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특징 (17) | 2025.06.13 |
뜨거운 음식 입으로 불어 식히면 안 되는 이유와 건강한 대안 (35) | 2025.06.11 |
아이 체벌이 끼치는 부작용과 절대 해서는 안 되는 이유 (19) | 2025.06.10 |
아이 성격을 망치는 사소한 습관들, 아이를 폭군으로 만드는 부모의 7가지 실수 (아이 훈육 방법) (23) | 2025.06.09 |